시간 부사절은 동작의 시점이나 시간적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시간 부사절을 포함한 문장에서 '이/가’와 ‘은/는’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예문과 함께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시간 부사절이란?
시간 부사절은 주로 언제(when), 기 전에(before), 동안(while), 후에(later), 곧(as soon as) 등의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이루어진 절을 말합니다.
시간 부사절이 포함된 문장에서는 부사절의 주어(소주어)와 전체 문장의 주어(대주어)를 구분해야 하며, 각각 다른 조사를 사용합니다.
2. 시간 부사절에서 ‘이/가’와 ‘은/는’의 사용법
1) ‘이/가’는 시간 부사절의 소주어에 사용
시간 부사절 내의 주어(소주어)는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를 나타내며, ‘이/가’를 사용합니다.
2) ‘은/는’은 전체 문장의 대주어에 사용
주절의 주어(대주어)는 문장의 전체 주제를 나타내며, **‘은/는’**을 사용합니다.
3. 시간 부사절 사용 예문
예문 1:
내가 일어났을 때 아버지는 신문을 보고 계셨다.(My father was reading the newspaper when I woke up.)
• 소주어: 내가 (시간 부사절의 주어)
• 대주어: 아버지는 (주절의 주어)
• 설명: 부사절 내에서 ‘내가’가 동작의 주체로 ‘이/가’를 사용하고, 주절에서 전체 주제인 ‘아버지’는 ‘은/는’을 사용합니다.
예문 2:
어머니가 돌아오시기 전에 나는 숙제를 해 놓았다.(I did my homework before my mother came back.)
• 소주어: 어머니가 (시간 부사절의 주어)
• 대주어: 나는 (주절의 주어)
• 설명: 시간 부사절에서 ‘어머니가’는 동작의 주체로 ‘이/가’를 사용하며, 주절에서 ‘나는’은 전체 주제를 나타냅니다.
예문 3:
비가 오기 시작했을 때 나는 도서관에 갔다.(I went to the library when it started to rain.)
• 소주어: 비가 (시간 부사절의 주어)
• 대주어: 나는 (주절의 주어)
• 설명: 부사절에서 ‘비가’는 동작의 주체로 ‘이/가’를 사용하며, 주절에서 ‘나는’은 전체 문장의 주어를 나타냅니다.
4. 시간 부사절의 주요 패턴
1) -ㄹ 때 (when):
시간 부사절에서 동작의 시점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예문:
• 내가 도착했을 때 그는 이미 떠났다.(By the time I arrived, he had already left.)
• 비가 올 때 우산을 챙기세요.(Bring an umbrella when it rains.)
2) -기 전에 (before):
주절의 동작이 부사절의 동작보다 이전에 일어남을 나타냅니다.
• 예문:
• 어머니가 돌아오기 전에 나는 방을 청소했다.(I cleaned the room before my mother came back.)
• 수업이 시작하기 전에 준비를 끝내세요.(Please finish preparation before the class starts.)
3) -ㄴ 후에 / -ㄴ 다음에 (after):
주절의 동작이 부사절의 동작보다 이후에 일어남을 나타냅니다.
• 예문:
• 밥을 먹은 후에 산책을 했다.(After eating, I took a walk.)
• 시험을 본 다음에 결과를 기다렸다.(After taking the test, I waited for the result.)
4) -는 동안 (while):
주절과 부사절의 동작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냅니다.
• 예문:
• 내가 설거지를 하는 동안 동생은 TV를 봤다.(My brother watched TV while I was washing the dishes.)
• 학생들이 공부하는 동안 선생님은 준비를 하셨다.(The teacher prepared while the students were studying.)
5) 곧 -자마자 (as soon as):
시간 부사절의 동작이 끝나는 즉시 주절의 동작이 일어남을 나타냅니다.
• 예문:
• 비가 그치자마자 나는 밖으로 나갔다.(As soon as the rain stopped, I went outside.)
• 수업이 끝나자마자 학생들은 급히 교실을 나갔다.(As soon as the class was over, the students rushed out of the classroom.)
5. 소주어와 대주어 사용의 중요성
시간 부사절에서는 소주어와 대주어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어야 문장이 자연스럽게 읽힙니다.
• 소주어: 동작의 주체를 나타내며, 시간 부사절 내부에서만 기능합니다.
• 대주어: 문장의 전체적인 주제를 나타내며, 주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6. 연습 문제
다음 문장에서 소주어와 대주어를 구분해 보세요.
1. 내가 집에 도착했을 때 동생은 게임을 하고 있었다.
2. 아버지가 아침을 드시는 동안 나는 숙제를 했다.
3. 비가 온 다음에 우리는 집에 들어갔다.
4. 수업이 끝나기 전에 선생님이 중요한 공지를 하셨다.
'한국어 문법 차이 > 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가'와 '은/는': 품사와 위치 차이에 따른 사용법 (1) | 2024.12.04 |
---|---|
'이/가'와 '은/는': 가정·조건문의 조사 사용법 정리 (3) | 2024.12.03 |
'이/가'와 '은/는': 소주어와 대주어 사용법 완벽 정리 (0) | 2024.11.30 |
'이/가'와 '은/는': 의문사 위치에 따른 조사 사용법 (1) | 2024.11.26 |
'이/가'와 '은/는'의 공통점 정리 (1)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