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사 7

📘 비교 대상의 “-와/과” 와 “-에”

✅ 공통점 (Common Point) 모두 체언 뒤에 붙어 비교 대상을 나타낼 수 있다.Both can follow a noun and indicate a comparison target. 예문 Examples: 1.돈도 명예도 건강에 (과) 비길 수는 없다.→ “Even money and fame can’t compare to health.” 2.그가 입은 옷은 내 것에 (과) 비슷하다.→ “The clothes he’s wearing are similar to mine.” ❗차이점 1: 의미 차이 (1) (Difference in Meaning 1) “-와/과”는 두 사람, 사물 간의 유사점 또는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된다."-와/과" is used to compare similarities or d..

카테고리 없음 2025.05.05

‘-에’와 ‘-에게’의 공통점과 차이점: 간접 목적어

안녕하세요, 한국어 학습자 여러분! 😊오늘은 간접목적어를 나타내는 ’-에’와 ‘-에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두 조사 모두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므로 꼭 정확히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 공통점✅ ① 모두 체언(명사) 뒤에 붙는다. • 간접목적어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 예시: • 그는 꽃에 물을 준다. 🌷→ (He gives water to the flower.) •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공책을 나누어 주었다. 📚→ (The teacher distributed notebooks to the students.) ✅ ② 강조할 때 ‘-다가’ 또는 ‘-다’를 붙일 수 있다. • 의미를 더 강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예시: • 꽃에다/다가 물을 준다. 💧→ (Givin..

장소를 나타내는 조사 ‘에’와 ‘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한국어에서  ‘에’ 와  ‘에서’는 장소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조사입니다. 두 조사는 장소를 나타내는 체언 뒤에 붙으며,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에’와 ‘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장소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겠습니다.1. 공통점 1) 장소를 나타냄 • 두 조사는 모두 장소를 나타내는 체언 뒤에 쓰입니다. • 예문을 통해 장소 표현에서 두 조사가 공통적으로 사용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문: • 친구가 도서관에 있다. (The friend is in the library.) • 친구가 도서관에서 책을 읽는다. (The friend is reading a book in the library.)2. 차이점 1) 쓰임새의 차이 ‘에’: • 사람과 사물의 존재 장소를 나타낼 때 ..

'이/가'와 '은/는': 품사와 위치 차이에 따른 사용법

한국어 문법에서 ‘이/가’와 '은/는’은 주격 조사를 나타내지만, 이 두 조사는 문장에서 위치와 품사에 따라 사용법이 달라집니다. 단순히 주어를 나타내는 역할을 넘어, 문장의 초점과 어조를 결정짓는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가’와 ‘은/는’의 품사와 위치 차이에 따른 사용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품사에 따른 ‘이/가’와 ‘은/는’의 차이 1) 체언 뒤에 사용  • ‘이/가’와 ‘은/는’은 기본적으로 체언 뒤에 사용됩니다. •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등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하는 품사입니다. 예문:  1. 고양이가 귀엽다. • 체언: 고양이 • 조사: ‘이/가’를 사용해 주어를 강조합니다. 2. 고양이는 귀엽다. • 체언: 고양이 • 조사: ‘은/는’을 사용해 주제를 설정합니다. 2..

'이/가'와 '은/는': 가정·조건문의 조사 사용법 정리

한국어 문장에서 가정문(if clauses)과 조건문(conditional clauses)은 주로 ‘만약’(If), ‘~면/으면’(In case), ‘~아/어/해서’( 'so' or 'therefore' )등 와 같은 표현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런 문장에서 ‘이/가’와 ‘은/는’은 소주어와 대주어를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이번에는 가정·조건문에서 이 두 조사의 사용법을 명확히 정리하고, 다양한 예문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가정·조건문이란? 가정문: 어떤 상황을 가정하고, 그것이 사실일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는 문장.  예: • 만약 비가 온다면, 우리는 실내에서 모임을 가질 것입니다.(If it rains, we will have a meeting indoors.) 조건문: 어떤 조건이 충족될 때 발생하..

'이/가'와 '은/는': 소주어와 대주어 사용법 완벽 정리

한국어 문법에서 ‘이/가’와 ‘은/는’ 조사의 사용법은 문장에서 소주어와 대주어가 구분되는 구조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오늘은 소주어와 대주어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이/가’와 ‘은/는’의 올바른 사용법을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1. 소주어와 대주어란 무엇인가요?소주어란? 소주어는 문장에서 서술어의 주체가 되는 작은 주어를 말합니다. ‘이/가’가 소주어를 표시합니다. 대주어란? 대주어는 문장에서 전체주제를 이끄는 큰 주어를 말합니다. ‘은/는’이 대주어를 표시합니다.2. 소주어와 대주어 사용 예문예문 1:동생이 좋아하는 운동은 테니스이다. (The sport my brother likes most is tennis.) •  소주..

'이/가'와 '은/는': 의문사 위치에 따른 조사 사용법

지난 글에서 개념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다면 . 이번 글 부터는 '이/가'와 '은/는'의 차이에 대해서 각 부분별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장에서 의문사(누구,무엇,어디,언제,왜,어떻게 등)가 포함되었을 때, 이 두 조사의 사용은 중요합니다. 이번에는 의문사의 위치에 따른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이 부분은 의문사가 포함된 문장에서 주격 조사를 쓸 때 자연스럽고 정확한 문장을 만들기 위해서 꼭 알아야 하는 내용입니다. 1. 의문사와 주격 조사의 기본 원칙1. 의문사가 주어일 경우  -의문사가 문장에서 주어로 사용될 때 주격 조사는 '이/가'를 붙입니다.  -이는 문장에서 새로운 정보를 묻거나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  누가 이겼습니까?(Who won?) - 누구+가 > 누가  어디가..